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 심채경

창백한 점에서 천문학자가 일상을 살면서 우주를 사랑하는 법 천문학은 경이적인 학문이다.하늘을 보고 별을 보고달을 보고 태양을 보고 우주의 기원과 우리 인간의 기원부터 학문이다.천문학은 별의 근원을 밝힌 학문이지만, 철학적 물음부터 그 시작을 찾을 수 있다.우리는 어디서 왔을까?별은 왜 빛나는 달은 왜 모양이 달라질까?왜 우리는 별에 소원을 하고 별자리를 찾아 우주인을 찾는 도는 것일까?존재에 대한 인식과 존재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되는 학문이 천문학인 것이다.그래서 천문학은 과학이지만 동시에 문학이다.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허전함과 별 하나에 시를 기억한다.그러나 천문학자인 저자는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고 말한다.별을 보는 대신 과학자인 그들은 먼 우주에서 날아온 신호를 수치로 변화하게 데이터를 만들어 블랙 홀이 존재하고 다른 은하가 존재하는 것을 관측하고 측정한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우리에게 천문학은 로맨틱한 학문이다.이 책의 저자인 천문학자 심·치에교은은 자연형 인간이지만 평범한 문장으로 우리를 매료시킨다.천문학자의 매력적인 천문학 이야기를 기대한 나는 오히려 여성 과학자로서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을 보았다.본인 스스로 천문학을 시작하기로 된 결정적 계기가 있던 사람이 아니라 프로젝트로 비정규직 생활을 살아갈 대한민국의 워킹 맘인 것을 말했다.그래도 그의 이야기는 슬프지 않다.왜냐하면 그는 천문학을 좋아하고 즐기기 때문이다.우주에 대해서 별에 대해서 광적으로 흥분하고 왜 천문학을 사랑하지 않느냐고 우리들에게 강요하지 않는다.천문학의 고전인 칼·세이건의 “코스모스”을 아직 완독하지 않는 이유가 저자의 광적인 흥분 상태를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천문학에 대해서 문외한인 나는 오히려 그 광적인 흥분이 좋았고, 우와 멋있다는 감탄사를 연발했지만 같은 천문학자의 눈에는 칼·세이건의 글은 그냥 선동으로 보인다 것 같다.정확한 수치와 데이터로 모든 사물을 판단하는 과학자에게는 더욱 그렇다.차가운 머리, 뜨거운 가슴.과학은 머리가 차가운 아니면 안 된다.그래서 과학 작문은 건조하고 전혀 미사 여구가 없다.그러나 과학자들은 새로운 발견과 기술의 진보 때문에 정열을 가져야 하고, 그것 자체가 즐겁지 않으면 안 된다.그런 점에서 이 책의 저자는 과학자이다.그리고 오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사람이다.취직 때문에 다니는 직업 양성소가 되어 버린 대학을 탄식하고 과학자보다 여성이 더 부각되는 우리 현실을 안타까워한다.과학이라는 학문은 돈이 안 되지만, 그래도 전 국민이 응원하고 국민이 낸 세금이 있음을 알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록 별을 보지 않는 천문학자여도 오히려 우리에게 다른 별을 볼 수 있게 해준 책이며, 더 가슴에 남는다.대한민국에서 돈 안 되는 기초 과학, 그것도 워킹 맘이 살아가는 여성 과학자의 인생을 조금 엿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발매 2021년 02월 22일.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발매 2021년 02월 22일.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저자 심채경 출판문학동네 발매 2021년 02월 22일.

 

error: Content is protected !!